안녕하세요! 회계직무 현직자 언락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계직무 담당자는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해 주요 업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 회계담당자는 기업 경영을 위해 재무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경영진과 외부 이해관계자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1. 재무회계 (Financial Accounting)
재무회계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외부 이해관계자(주주, 채권자 등)에게 투명하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전표 작성 및 검토 : 거래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본 업무.
- 재무제표 작성 :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 작성 및 공시.
- 결산 업무 : 월, 분기, 연간 결산을 위한 결산전표 작성.
- 외부 감사 대응 : 감사 자료 준비 및 회계 기준 준수 여부 점검.
- 회계 기준 준수 : K-IFRS 및 K-GAAP 등 회계 기준에 따른 데이터 관리.
2. 세무회계 (Tax Accounting)
세무회계는 기업의 세금 관련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세금 신고 : 부가가치세(VAT), 법인세, 원천세, 지방세 신고.
- 세무조사 : 세무 자료 대비, 준비 및 세무 당국 대응.
- 절세 전략 수립 : 세법 개정안에 따른 절세 방안 모색.
- 이전가격 관리 : 다국적 기업의 세무 리스크 관리.
- 세법 준수 관리 : 최신 세법 업데이트 및 적용.
3. 원가회계 (Cost Accounting)
원가회계는 기업의 생산(제조) 비용을 분석하고 관리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 원가 배부기준 수립 : 부서 신설/폐지 시 코스트센터 설정 및 배부 기준 관리.
- 제품별 제조원가 분석 : 표준 원가와 실적 원가 차이 분석.
- 원가 절감 : 원가 절감 방안 도출 및 실행, 평가.
- 생산 효율성 및 수익성 분석 : 원단위, 원단가, 공헌이익, 한계이익 등 지표 관리.
- 실적 관리 :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영진 및 관련부서 원가정보 제공.
4. 관리회계 (Management Accounting)
관리회계는 경영진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산 수립 및 관리 : 부서별 예산 계획 및 실적 모니터링.
- 실적 분석 : 예산 대비 실적 분석 및 원인 파악.
- 경영진 보고 :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및 보고서 제공.
- 부서 평가 : 부서별 KPI 및 성과 측정.
- 비용 통제 : 효율적 자원 사용을 위한 지출 관리.
5. 자금 (Treasury)
자금은 기업의 재무 유동성과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 자금 조달 : 금융권 대출 혹은 사채 발행 등을 통한 자금 확보.
- 자금 운용 : 유동성 관리 및 현금흐름 최적화를 통한 금융비용 절감.
- 외환 관리 :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 최소화.
- 투자 관리 :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및 운용.
- 금융 기관 대응: 은행 등 금융기관과의 관계 유지.
6. 공시 (IR, Investor Relations)
공시 및 IR은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 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 재무 보고서 작성 및 공시 : 재무제표 및 실적 발표 자료 작성.
- 투자자 커뮤니케이션 : 주주총회 준비 및 투자자 질의 응답.
- 프레젠테이션 : 기업의 비전과 실적을 투자자에게 공유.
- 법적 규정 준수 : 공시와 관련된 법적 요구사항 이행.
7. 감사 및 내부회계 (Auditing & ICFR)
감사 및 내부회계는 기업의 재무제표 작성 과정에서 오류나 부정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 관리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재무제표가 작성 되도록 통제, 평가합니다.
-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 : 재무 보고 정확성을 위한 통제 절차 설계 및 구축.
- 통제 테스트 : 내부 통제 시스템의 효과성 점검 및 개선.
- 오류 및 부정 방지 : 재무제표의 오류와 부정 가능성 차단.
- 리스크 평가 : 통제 절차상의 잠재적 리스크 식별, 분석 및 대응.
- 문제 해결 : 발견된 통제 결함에 대한 즉각적 조치.
- 회계 기록 검토 : 재무제표 및 회계 자료의 정확성 점검.
- 감사 보고서 작성 : 감사 결과 보고 및 경영진 제안.
- 정책 준수 평가 : 법적 및 내부 규정 준수 여부 확인.
8. 기획 (FP&A)
기획(FP&A)은 기업의 장기적인 전략과 재무 계획을 수립합니다.
- 재무 전망 : 미래 재무 성과를 예측하고 시나리오 분석.
- 시나리오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 : 경제 및 산업 동향 파악을 통한 시나리오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
- 전략적 투자 계획 수립 : 투자 기회 분석 및 실행.
- 경영진 지원 : 데이터 기반 전략 수립을 위한 인사이트 제공
회계 직무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돕는 역할을 하며, 각 분야마다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직무별 고유 업무와 필요역량을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해당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
세부 직무별 필요역량은 아래 링크 참고바랍니다.
https://unlock-ing.tistory.com/7
[회계직무] 세부 직무별 주요 업무 및 필요 역량
안녕하세요. 언락입니다. 회계 직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각 직무가 어떤 역할을 담당하며,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각 직무마다 고유
unlock-ing.tistory.com
🔎 더 많은 회계직무 팁과 취업·이직 전략이 궁금하다면?
블로그 구독 바랍니다. 계속해서 유용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취업/이직 관련 상담이 필요하시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 바랍니다.
☞ 카카오톡 그룹채팅방 : https://open.kakao.com/o/g0oYtD9f
[회계. 재무. 재경] 현직자 언락의 취업.이직 상담
#회계 #재무 #재경 #현직자 #취준 #취업 #이직 #컨설팅 #상담 #언락의컨설팅
open.kakao.com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직무] DeepSeek의 등장과 미래 대비 전략 (0) | 2025.01.27 |
---|---|
[회계] 상장(IPO)이란 무엇인가요? (2) | 2025.01.24 |
[회계] 재무제표 분석 방법과 실전 적용 포인트 (4) | 2025.01.15 |
[회계] 외부감사 대상 기업 기준, 한눈에 쉽게 이해하기 (2) | 2025.01.13 |
[회계] 왜 회계를 알아야할까? (7)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