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이직/회계

[회계직무] 코스피 vs 코스닥 상장사 차이점

by 취업컨설턴트 언락 2025. 2. 8.

안녕하십니까, 회계직무 현직자 언락입니다. 😊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업무 차이점을 물어보시는 분이 계셔서 이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기업의 재경(회계·세무·자금·공시 담당 조직) 업무는 상장 시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코스피(유가증권시장)와 코스닥 상장사는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코스피와 코스닥 재경팀 업무의 주요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 코스피 vs 코스닥

공시 기준 : 코스피가 더 엄격하다!
코스피 상장사는 코스닥보다 공시 기준이 엄격합니다.
특히, 기업지배구조 공시, 사업보고서 기재사항, 감사위원회 설치 등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 법적 근거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 상장법인의 공시 의무를 규정
  •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 한국거래소(KRX)에서 코스피 상장사의 공시 기준을 별도로 설정
  •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 코스닥 상장사에 적용되는 공시 기준으로, 코스피보다 상대적으로 완화

공시규정 검색 [KRX(한국거래소)]

 

📌 코스피 공시 기준이 더 높은 이유

1️⃣ 기관투자자·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높아 투자자 보호 필요
2️⃣ 내부통제 강화 요구 : 감사위원회 설치, 내부회계관리제도(ICS) 인증 필수
3️⃣ 재무 건전성 및 상장 요건이 더 까다로움

코스피 vs 코스닥 공시 기준 비교

항목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공시 기준 상대적으로 엄격 상대적으로 완화
기업지배구조 공시 자산규모 5천억원 이상(2024년~)
코스피 전체(2026년~)
의무 없음. 자율
감사위원회 설치 의무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감사(비상근)만 두는 경우가 많음
감사위원회 설치 의무 없음
사업보고서 기재사항 항목 더 많음
(지배구조, 내부감사, 내부통제 등)
코스피보다 상대적으로 간소화
공시 위반 시 제재 강한 제재
(과징금 부과, 상장폐지 리스크 증가)
상대적으로 약함
기관투자자 비중 높음 상대적으로 낮음

📌 코스피 상장사는 투자자 보호 및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공시 의무가 더 많고, 위반 시 제재가 강함

 

 내부 통제 시스템(ICFR,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 코스피 상장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ICS, Internal Control System) 인증이 보다 엄격하며, 외부 감사를 통해 내부 통제의 적정성을 평가받아야 합니다.
  • 반면 코스닥 상장사는 상대적으로 간소한 내부회계 관리 기준을 적용받지만, 규모가 큰 코스닥 기업은 코스피에 준하는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직 규모 및 역할 분담
📌 코스피 : 회계팀, 세무팀, 자금팀, 공시팀, IR팀 등 역할이 세분화되어 각 분야별 전문적으로 운영됨
📌 코스닥 : 회계팀과 자금팀 등 여러 업무를 통합적으로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조직이 간소화됨

 

※ 참고링크

 - KRX 법무포털

 - 금융위원회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가이드라인 

 

더 많은 회계·재경·재무 직무 팁과 취업·이직 전략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 바랍니다. 🔎

 카카오톡 그룹채팅방 : https://open.kakao.com/o/g0oYtD9f

 

[회계. 재무. 재경] 현직자 언락의 취업.이직 상담

#회계 #재무 #재경 #현직자 #취준 #취업 #이직 #컨설팅 #상담 #언락의컨설팅

open.kakao.com

반응형